볼 밸브(Ball Valve)는 산업 플랜트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밸브 유형 중 하나입니다. 구조와 작동 방식에 따라 플로팅 타입(Floating Type)과 트러니언 타입(Trunnion Type)의 차이를 가지며, 이로 인해 설계 및 부품 구성에도 차이가 발생합니다. 본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차이점과 설계, 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Floating Type 볼 밸브
1) 구조 및 작동 원리
- 볼(공)이 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나 몸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
- 유체 압력에 의해 볼이 다운스트림 시트에 밀착되어 실링 효과 발생
- 일반적으로 중저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됨
2) 장점
-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
- 자가 밀봉(Self-sealing) 방식으로 높은 실링 성능 제공
- 소형 밸브에 적합하여 다양한 적용 가능
3) 단점
- 유체 압력이 높아질수록 작동 토크가 증가하여 큰 밸브에는 부적합
- 고압에서 시트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
- 볼이 일정한 지지 없이 떠 있기 때문에 내부 마모가 발생할 수 있음
2. Trunnion Type 볼 밸브
1) 구조 및 작동 원리
- 볼이 상하단의 지지 장치(Trunnion)에 고정되어 있음
- 유체 압력과 관계없이 볼이 고정되어 있어 시트가 움직이며 실링 수행
- 주로 고압 및 대구경 밸브에 사용됨
2) 장점
- 고압 및 대구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 가능
- 볼이 지지되므로 낮은 작동 토크로 구동 가능
- 고압에서도 실링 성능 유지
3) 단점
- Floating Type 대비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높음
- 추가적인 지지 장치가 필요하므로 무게 증가
-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복잡할 수 있음
3. 설계 및 부품에 미치는 영향
1) 시트 설계 (이 주제는 따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)
- Floating Type: 유체 압력에 따라 시트가 밀착되므로 자가 밀봉 방식 적용
- Trunnion Type: 스프링 로드 시트(Spring-loaded seat) 또는 피스톤 효과를 활용한 설계 필요
2) 구동 시스템
- Floating Type: 수동 레버, 기어 작동이 일반적
- Trunnion Type: 기어박스, 전동 액추에이터, 유압 구동 방식이 주로 사용됨
3) 적용 압력 및 크기
- Floating Type: 중저압(150~600 Cladd), 소~중형 크기에 적합
- Trunnion Type: 고압(600~2500 Class), 대구경에 적합
4) 유지보수 및 비용
- Floating Type: 단순한 구조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저비용
- Trunnion Type: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수명이 길어야 경제적
Floating Type과 Trunnion Type 볼 밸브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며, 적용 환경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. 중저압 및 소형 시스템에서는 Floating Type이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며, 고압 및 대구경 환경에서는 Trunnion Type이 안정성과 내구성 면에서 우수하다고 볼수 있죠. 설계 시에는 유체 압력, 구동 방식,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볼 밸브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.
'Piping > Val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밸브 시트 선택 가이드: 시트 타입 및 작동 방식 비교 (1) | 2025.02.05 |
---|---|
밸브 본체 설계 유형 비교: Top Entry, Side Entry, Split Body, Three-Piece Body, Welded Type (1) | 2025.02.05 |
솔레노이드 밸브의 원리 (How solenoid valves work) (6) | 2025.02.04 |
서모스탯 밸브 (Thermostat Valve) (1) | 2025.01.29 |
슬러리 밸브 (Slurry Valve): 산업 현장의 숨은 해결사 (3) | 2025.01.26 |